본문 바로가기

생활탐구/생활정보

연봉 실수령액 2500-3000/ 계산기

반응형

우리가 흔히 말하는 연봉은 세전금액을 말합니다. 실제 연봉3000만원이라고 말하더라도 실제 수령액은 250만원정도 선입니다. 이는 세금을 제하기 때문인데요.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원천징수(소득세, 지방소득세)를 모두 제하고 나면 실제 받게 되는 월급이 산출됩니다. 세금은 점점 올라가는데 우리 연봉은 그만큼 따라가질 못하니 월급쟁이들은 더욱 힘이 드는 현실입니다. 

 

연봉 실 수령액 계산기

임금계산기

 

일반적으로 네이버 계산기를 이용하면 쉽게 실 수령액을 구하실 수 있습니다. 

연봉을 입력하면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근로소득세를 자동으로 제해주고 환산금액을 알려줍니다.

그렇지만 어떤 부분을 얼만큼 제하는지 관련 내용을 조금 더 상세하게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 아래 표를 정리해두었습니다.

 

 

연봉 계산표
연봉 월지급액 월급여액
(급여액-비과세액)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 공제합계액 실수령액
25,000,000 2,083,333 1,883,333 84,750 66,760 8,550 16,950 16,770 1,670 195,450 1,887,883
26,000,000 2,166,667 1,966,667 88,500 69,710 8,920 17,700 18,420 1,840 205,090 1,961,577
27,000,000 2,250,000 2,050,000 92,250 72,670 9,300 18,450 21,130 2,110 215,910 2,034,090
28,000,000 2,333,333 2,133,333 96,000 75,620 9,680 19,200 23,700 2,370 226,570 2,106,763
29,000,000 2,416,667 2,216,667 99,750 78,580 10,060 19,950 26,270 2,620 237,230 2,179,437
30,000,000 2,500,000 2,300,000 103,500 81,530 10,440 20,700 29,160 2,910 248,240 2,251,760

 

1. 국민연금 : 보험료율 9% (근로자와 회사가 각 4.5%씩 반반부담)

2. 건강보험료 : 보험료율 7.09% (근로자와 회사가 각 3.545%씩 반반부담)

3.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료 * 12.81%

4. 고용보험료 : 월급여액(급여액-비과세액)*0.9%

5. 근로소득세 : 근로소득세 간이세액표에 의해 원천징수

6. 지방소득세 : 근로소득세 * 10%

※ 비과세액은 대표적으로 식대(최대20만원), 일직료, 차량운전보조금, 자녀학자금, 퇴직급여 지급을 위한 사용자 적립금액 등이 있습니다.

 

연장, 야간근로수당을 받으시는 분들은 매달 월급이 조금씩 상이하니,

회사에서 급여명세서를 떼보시고 각 항목들을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회초년생들은 보통 2500 - 3000선의 연봉에서 시작하는 분들이 많으실겁니다. 연봉 2500만원은 세금을 제외하면 188만원으로 실업급여나 아르바이트,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는 금액일텐데요. 그래서 요즘 청년들 중 자발적 실업자가 늘어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하게 됩니다. 월급으로 따지면 최저시급보다 낮은 곳이 많아 일할 열정과 의지를 잃게되는 것이죠. 그렇지만 회사에서 실력을 쌓고 자신을 발전시켜 나가는 단계로 받아들인다면 조금은 희망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 회사외의 다른 자산이나 파이프라인을 만들어가는 것도 자본주의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라 생각합니다. 

오늘날의 대한민국 청년들을 응원합니다. 

반응형